식물은 물보다 흙이 먼저입니다 🌱 실내 식물, 다 똑같은 흙에 심으면 안 된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? 식물마다 성격이 다르니, 흙도 달라야 제대로 자라요!
📌 목차
- 실내 식물 흙 선택이 중요한 이유
- 관엽식물에 적합한 흙
- 다육이와 선인장에 어울리는 흙
- 허브류와 키친가든 식물의 흙
- 공기정화 식물에 맞는 흙
- 실내 식물 흙 교체 주기와 관리법
- 흙 선택 실패 사례와 팁 정리
실내 식물 흙 선택이 중요한 이유
흙은 단순한 '그릇'이 아니에요. 물 저장, 공기 순환, 영양 공급까지! 식물 뿌리의 모든 삶이 흙에 달려 있어요. 그런데 흙이 맞지 않으면?
- 뿌리 썩음 발생
- 영양 부족으로 잎 노랗게
- 물 줘도 흙이 안 마름
이런 증상, 흙 때문일 수 있습니다. 그러니 식물에 맞는 흙을 써야 오래 건강하게 키울 수 있어요.
관엽식물에 적합한 흙
관엽식물은 이파리를 주로 감상하는 식물이죠. 예: 스파트필름, 몬스테라, 테이블야자 등. 이 아이들은 수분을 좋아하지만, 뿌리가 과습엔 민감해요.
✅ 추천 조합: 배양토 7 + 펄라이트 2 + 마사토 1
수분은 적당히 보유하면서도 공기 순환이 잘 되는 구조로 만드는 게 핵심이에요. 특히 펄라이트가 숨구멍 역할을 해줘요! 🌬️
다육이와 선인장에 어울리는 흙
이 친구들은 사막 출신이죠? 그래서 무조건 배수가 잘 되어야 해요. 물을 오래 머금으면 뿌리가 바로 썩어버려요.
✅ 추천 조합: 다육이 전용 배양토 5 + 마사토 3 + 강모래 2
마른 느낌이 들 정도로 뽀송한 흙이 이상적이에요. 수분보다는 통기성 위주로 설계해야 하죠. 🪴
허브류와 키친가든 식물의 흙
바질, 로즈마리, 파슬리 같은 허브는 향도 좋고 먹기도 좋아서 많이 키우시죠. 근데 키우다 보면 잘 죽는 경우도 많아요. 이유는 '과습'이에요.
✅ 추천 조합: 배양토 6 + 펄라이트 2 + 바크 2
허브는 적당한 배수성과 유기물 기반의 흙이 좋아요. 너무 무거운 흙은 뿌리가 질식할 수 있으니 피해 주세요! 🌿
공기정화 식물에 맞는 흙
스투키, 아레카야자, 산세베리아 등은 실내 공기 정화에 탁월하죠. 이 아이들은 대체로 건조에도 강하지만, 영양이 조금 필요한 편이에요.
✅ 추천 조합: 배양토 7 + 펄라이트 1.5 + 부엽토 1.5
가볍고 통기성 좋으면서도 영양분 있는 흙이 좋아요. 특히 스투키는 흙 말랐을 때 물 주는 게 중요해요!
실내 식물 흙 교체 주기와 관리법
흙도 수명이 있어요. 오래된 흙은 물빠짐도 나빠지고, 벌레도 생길 수 있어요.
✅ 교체주기: 6개월~1년
✅ 관리팁:
- 겉흙이 딱딱해지면 삽으로 긁어주세요
- 분갈이할 땐 뿌리 상태도 꼭 확인!
- 벌레 많아지면 햇빛에 말리거나, 계피가루 뿌려주기
냄새가 나거나 물 줬는데 물 빠짐이 느려지면 바로 교체해 주는 게 좋아요! 💧
흙 선택 실패 사례와 팁 정리
❌ 다육이에 일반 배양토 → 과습으로 뿌리 썩음
❌ 허브에 상토만 사용 → 영양 부족으로 고사
❌ 실내 식물에 일반 정원 흙 → 벌레 발생, 물빠짐 나쁨
💡 팁 정리:
- 물 좋아하는 식물 = 흙이 촉촉해야 함
- 건조한 환경 좋아하는 식물 = 배수성 높은 흙
- 초보자라면 '전용 흙' 사용 추천
실내 식물은 공간도 한정적이고, 흙이 환기되기 어려운 만큼 더 꼼꼼히 골라야 해요!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❓관엽식물엔 일반 배양토 써도 되나요?
❗가능하지만 펄라이트 등으로 통기성을 보완하는 게 좋아요.
❓다육이에 마사토만 써도 되나요?
❗ 너무 건조해서 성장이 느려질 수 있어요. 전용 배양토와 섞어 쓰세요.
❓허브 키우는데 화단용 흙 써도 되나요?
❗ 벌레 발생 위험이 높고 통기성이 떨어져요. 실내용 흙을 추천해요.
❓흙에 곰팡이가 폈어요. 어떡하죠?
❗ 겉흙을 걷어내고 계피가루나 활성탄을 뿌려주세요. 심한 경우 흙 교체가 필요해요.
❓흙에 하얀 알갱이 뭔가요?
❗ 펄라이트일 수 있어요. 물빠짐을 좋게 해주는 좋은 성분입니다!
✨ 에필로그
저는 한 번 다육이에 일반 배양토 썼다가, 열흘 만에 뿌리 썩는 걸 보고 정말 좌절했었어요… 그 뒤로는 흙만큼은 꼼꼼히 따지게 됐죠! 식물은 우리가 얼마나 잘 신경 써주느냐에 따라 정말 달라지더라고요. 흙, 꼭 맞춤으로 써보세요. 정말 달라요! 😄
'원예 식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레국화, 5월 중순 부터 만개하는 명소 리스트, 파종 시기 (0) | 2024.05.29 |
---|---|
먼저 단풍이 들며 가을에 매력적인 화살나무 (0) | 2023.08.25 |
오랫동안 꽃피우는 천남성과 카라(칼라, Calla) (0) | 2023.06.29 |
초여름에 꽃을 피우는 수국 키우기와 관리 (0) | 2023.06.28 |
디펜바키아 키우기와 관리의 요령 (0) | 2023.06.10 |
댓글